카테고리 없음

산화와 환원

10분전bbb 2024. 10. 22. 13:37

산화와 환원

 

산화-환원반응(oxidation-reduction reaction ; redox reaction)은 어떤 원소가 산소 또는 수소와 화합하거나 분리되는 현상으로 정의하였으나 현재는 산화수에 의해 정의되는 넓은 의미의 산화-환원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산소나 수소가 반응에 관여하지 안 는 반응에서의 산화-환원을 말할 때에는 전자의 이동이나 산화수의 변화로써 산환-환원반 응으로 정의할 수 있다.

 

산화는 물질이 산소와 결합하거나, 전자를 잃는 과정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철이 녹슬 때 산화됩니다. 이는 철이 산소와 결합해 산화철로 변하는 과정입니다.

반대로, 환원은 물질이 산소를 잃거나, 전자를 얻는 과정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산화철에서 철을 추출할 때 환원 반응이 일어납니다. 이는 산화철이 산소를 잃고 철로 변하는 과정입니다.

산화와 환원은 항상 함께 일어납니다. 이를 ‘산화-환원 반응’이라고 합니다. 한 물질이 산화되면 다른 물질이 반드시 환원됩니다. 예를 들어, 연소반응에서 탄소가 산소와 결합해 이산화탄소로 산화될 때, 산소는 탄소로부터 전자를 얻어 환원됩니다.

산화-환원 반응은 배터리, 연료전지, 금속제련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나. 전자이동과 산화-환원 산화-환원반응에서는 한 반응물에서 다른 반응물로 전자가 이동한다. 수용액 속의 아연금속과 구리(Ⅱ)이온 사이에서 일어나는 산화-환원반응을 반응식으로 나타내면 다 음과 같다.

 

이 과정에서는 구리의 산화상태가 +2에서 0으로 감소되었기 때문에 환원 되었다. 또 한 아연의 산화상태는 0에서 +2로 증가하였기 때문에 산화되었다.

 

산화수와 산화-환원 한 원소의 산화수(oxidation number) 또는 산화상태(oxidation state)는 분자 또는 이온의 알짜전하를 설명하기 위하여 분자 또는 이온 내에 있는 원자에 할당된 수를 말한다. 산화수는 다음과 같이 약간 임의적으로 보이는 규약에 따라서 정해진다. Ⅰ) 반응하지 않은 원소의 산화상태는 0이다. Ⅱ) 화합물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원자의 산화상태의 합은 화합물의 알짜 전하와 같아 야 한다. Ⅲ) 화합물을 구성하고 있는 알칼리 금속의 산화상태는 +1이고, 알칼리 토금속과 Zn, Cd의 산화상태는 항상 +2이다. Ⅳ) 화합물을 구성하고 있는 할로겐족의 산화상태는 -1이다. Ⅴ) 대부분의 산소화합물에서 산소의 산화수는 -2이다. 예외로 과산화물, 초과산화물에 서는 산화수가 -1, -1/2이다. Ⅵ) 수소화합물에서 수소원자의 산화수는 +1이고, 금속수소화합물에서 수소의 산화수는 –1이다

 

산화제와 환원제

산화제(oxidizing agent) 자신은 쉽게 환원되면서 다른 물질을 산화시키는 성질이 강한 물질을 산화제라고 하 며, 다음과 같은 조건이 필요하다. • 산소를 내기 쉬운 물질 • 수소와 화합하기 쉬운 물질 • 전자를 얻기 쉬운 물질 • 전기음성도가 큰 비금속 단체

 

나. 환원제(reducing agent) 자신은 쉽게 산화되면서 다른 물질을 환원시키는 성질이 강한 물질을 환원제라고 하 며 다음과 같은 조건이 필요하다. • 수소를 내기 쉬운 물질 • 산소와 화합하기 쉬운 물질 • 전자를 잃기 쉬운 물질 •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 단체

 

유기화합물

 

가. 유기화합물의 정의 1806년 스웨덴의 J.J. 베르셀리우스에 의해 최초로 유기화합물(organic compound) 이라는 말이 사용되었다. 당시 천연동식물계에서 생성성분·배출물·발효생성물 등으로 얻어지는 화합물은 광물계로부터 얻어지는 무기화합물 (무기물질)과 본질적으로 다르며, 생물의 생명력에 의해 그 기관(organ)에서 만들어진다고 생각하여 유기(organic)라 는 명칭이 붙여졌다. 유기화합물은 생명력에 의해 생성되므로 실험실에서 무기화합물 로는 만들 수 없다고 생각되었으나, 1828년 독일의 뵐러(F. Wöhler)가 무기화합물로 알려진 시안산암모늄을 가열하여 유기화합물인 요소를 합성함으로써, 유기화합물과 무 기화합물의 본질적 차이는 없어졌다.

 

유기화합물의 기본은 탄화수소이며, 탄소와 탄소, 탄소와 수소의 공유결합으로 구성 된다. 탄소끼리는 공유결합에 의해 여러 개가 결합되어 사슬모양이나 고리모양의 골격을 형성하기도 하며, 탄소-탄소 결합에는 단일결합 외에 2중 결합이나 3중 결합도 가능하므로 탄화수소만으로도 여러 개가 존재한다. 또 탄화수소 골격을 산소·질소·황 등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한 작용기로 치환하면 더욱 많은 유도체가 만들어지므로 유기화합물 의 수는 수백만 종이 될 수 있다. 유기화합물은 일반적으로 가연성이며, 무기물에 비해 녹는점이 낮고, 물에 녹기 어려우며, 알코올·에테르 등의 유기용매에 녹기 쉬운 성질이 있다.

Organic compounds are generally combustible, have lower melting points than inorganic substances, are difficult to dissolve in water, and are easy to dissolve in organic solvents such as alcohol and ether.

 

나. 유기화합물의 특성 유기화합물은 탄소를 주축으로 하여 이루어진 공유결합물질로서, 현재는 탄화수소화합물 이라고 정의한다. 크게 포화탄화수소, 불포화탄화수소, 방향족탄화수소화합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들 화합물의 대부분의 성질은 작용기에 의하여 결정된다. 유기화합물의 일반적 성 질은 다음과 같다.

Characteristics of Organic Compounds Organic compounds are covalent bonding materials composed of carbon as the main axis, and are currently defined as hydrocarbon compounds. It can be largely divided into saturated hydrocarbons, unsaturated hydrocarbons, and aromatic hydrocarbon compounds, and most properties of these compounds are determined by functional groups. The general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are as follows

 

Organic compounds are primarily made of carbon atoms bonded with hydrogen, oxygen, nitrogen, and other elements. There are four main types: carbohydrates, lipids, proteins, and nucleic acids.

1. **Carbohydrates**: These are energy sources, consisting mainly of sugar units. Common examples include glucose and starch.
  
2. **Lipids**: These are fats and oils, crucial for cell membrane structure and energy storage. They are hydrophobic, meaning they do not mix with water.
  
3. **Proteins**: Made up of amino acids, proteins are essential for various cellular functions including enzyme activity and structural support.
  
4. **Nucleic Acids**: These include DNA and RNA, which store and transfer genetic information.

 

탄화수소화합물의 분류

 

1) 탄소-탄소결합형식에 의한 분류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령 제2조에서 정하는 제4류 위험물 또는 일부 제5류 위험물 들은 석유류 또는 석유류에서 유도된 화합물로서 주성분은 탄화수소(hydrocarbon)이 다. 이들은 탄소-탄소결합의 양식에 따라서 [표 1-7]와 같이 분류할 수 있다. 포화 탄화수소는 탄소-탄소 단일결합만으로 되어있다. 불포화탄화수소는 탄소-탄소다중 결합, 즉 이중결합 또는 삼중결합 등을 포함하고 있다. 방향족탄화수소는 벤젠구조 와 관련된 고리모양의 불포화화합물이다. That is, it contains a double bond or a triple bond. Aromatic hydrocarbons are cyclic unsaturated compounds related to benzene structures.

 

작용기에 의한 분류

 

공통된 화학적 특성을 지니는 한 무리의 유기화합물에서 그 특성의 원인이 되는 공통된 원자단을 작용기라고 부른다. 예를 들면, 알코올류 및 페놀류에 속하는 유기 화합물은 모두 히드록시기 (-OH)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이 이들 화합물에 특성을 부여하는 원인의 하나이다. 대부분의 유기화학반응에서 화학변화는 작용기에서 일 어나고 분자의 나머지 부분은 원래의 구조를 유지한다. In most organic chemical reactions, chemical changes occur in functional groups, and the rest of the molecule maintains its original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