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과학적인 화재조사방법

10분전bbb 2024. 11. 11. 08:12

과학적인 화재조사방법

 

화재조사관들은 과학적인 방법이나 체계적인 방법을 따르지만 정확한 것은 아니다. 화재 조사관들이 화재조사를 수행하기 위해 활용된 방법에 관해 질문을 받을 때, 화재현장을 외 부에서 내부로 또는 피해가 가장 적은 부분에서 가장 심한 부분으로 기록한다고 말한다. 이 것은 과학적인 방법의 한 부분인 자료수집에 해당된다. 다음은 화재조사에 있어 과학적인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 활용된 단계들이다

 

Fire investigators use scientific methods or the rest, but they don't. When fire investigators are asked about the methods utilized to conduct a fire investigation, they state that they record the fire scene from the exterior to the interior or from the smallest part to the nearest attacker. This is one part of the scientific method: data collection. The following were the steps utilized to apply the scientific method in fire investigation:

 

가. 필요성 인식(문제 확인) 첫 번째 단계는 해결할 문제가 있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다. 이것은 사건이 통보되고 발화지점과 원인을 판별해 줄 것을 요청하기 때문에 당연히 확인된다. 조사자가 제기할 필요가 있는 문제의 정확한 성질은 화재조사가 이루어지는 동안 조사자가 수행해야 할 임무의 책임과 역할에 달려있다.

 

나. 문제정의 화재조사관들이 현장에 도착하여 업무를 착수할 때, 해결해야 할 문제에 대해서 명확 히 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발화지점과 원인을 판정하기 위해서 문제가 있는가?

 

다. 자료수집 화재조사관은 문제정의에 대한 해답을 찾을 필요가 있는 현장정보를 수집하기 시작하여야 한다. 그 자료들은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된다.

 

Data Collection Fire investigators must begin gathering the field information needed to answer the problem definition. The materials include:

 

① 화재패턴과 같은 물리적 증거확인 ② 실험실분석을 위한 증거물 수집 ③ 실험실 조사 결과물 ④ 목격자 진술과 같은 사람들이 관측한 기록 ⑤ 사진촬영, 도면, 메모를 통한 현장기록 ⑥ 소방서와 경찰서와 같은 공식 현장 관련 보고서 ⑦ 이전 현장조사의 증거서류나 결과

 

과학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들은 실제 자료로서 나중에 분석될 것이다. 이들 자료는 입증될 수 있거나, 사실로 증명될 수 있거나, 관찰이나 경험에 근거를 두 는 정보로 이루어져 있다. 화재조사관들은 가설을 최종적으로 입증하기 위한 자료에 대해서 적절하게 기록하고 수집해야 한다.

 

왜냐하면 기억은 시간이 지나면서 희미해지므로 적절한 기록이 필요하 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일단 화재현장이 파괴되거나 변경되면 현장에서 추가적인 자 료를 수집할 기회가 사라질지도 모른다.

 

화재현장에서 모든 물리적인 물건들을 수집하 는 것이 불가능할지라도 적절한 기록은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유효하게 해 줄 것이다. 자 료 수집은 문헌조사, 화재패턴분석, 현장기록, 사진촬영과 도면, 증거확인과 보존, 기타 조사물의 검토와 분석들이다.

 

Although it may not be possible to collect all physical items from a fire scene, adequate records will validate the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Data collection includes literature review, fire pattern analysis, field records, photography and drawings, evidence confirmation and preservation, and review and analysis of other investigation materials.

 

자료 분석

 

화재조사관이 수집된 자료나 증거물을 검토할 때는 증거물이 가진 의미와 조사되었 던 사건과 관련된 가능한 가설 규명을 위해 최대한 객관적으로 조사하여야 한다. 특히 화재현장과 관련이 없거나 추측성 자료는 고려해서는 안 된다

 

When a fire investigator reviews collected data or evidence, he or she must conduct the investigation as objectively as possible to identify the meaning of the evidence and possible hypotheses related to the incident being investigated. In particular, data that is not related to the fire scene or is speculative should not be considered.

 

가설개발

 

화재조사관은 귀납법이 활용된 철저한 자료분석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설 을 개발할 것이다. 가설이라는 것은 과학적인 방법에 있어 문제정의에 대한 해답을 찾으려는 시도다. 이 작업은 화재조사관이 발화지점, 발화원인, 화재확산, 책임관계, 이들 의 상호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Fire investigators will develop hypotheses to solve the problem through thorough data analysis using inductive methods. A hypothesis is an attempt to find an answer to a problem definition in the scientific method. This task involves fire investigators confirming the point of ignition, cause of ignition, spread of fire, responsibility, and their interrelationships.

 

이 단계에서 화재조사관은 단지 하나의 가설이 아니라 두 개나 그 이상을 설정할 수도 있다. 만약에 하나의 가설이 과학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개발되지 않으면 또 다른 가능한 가설을 확인할 필요가 있고 그 가설은 "불명"으로 분 류해야 한다.

 

At this stage, the fire investigator may develop not just one hypothesis, but two or more. If one hypothesis is not developed using the scientific method, another possible hypothesis needs to be identified and that hypothesis should be classified as “unknown.”

 

 가설검증

 

화재조사관은 개발된 가설을 시험하기 위해 일반적 사실로부터 구체적 사실을 이끌 어 내는 연역법을 활용해야 한다.(그림 1-7 참고) 이 연역법을 통해서 최종적인 결론이 논리적인 근거를 주거나 줄 수 없을 수도 있고 증거나 자료에 의해서 반박할 수 있는 논리가 개발된다.

 

 

화재조사자의 직무

 

소방관서에서 행하는 화재조사는 소방기본법 제5장(화재의 조사)의 규정에 근거를 두고 있다. 화재조사를 행하는 권한은 화재에 대한 경험과 기술이 요구되므로 소방기관에 부여되 어 있다.

 

조사결과를 소방행정 시책에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것은 소방 기관임으로 이는 당연한 권한으로서 소방청장,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이 조사를 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권한과 의무가 있다

 

1. 권한

 

◦ 화재 또는 소화로 인한 피해의 조사권(수손․파손․오손 등) ◦ 관계자에 대한 질문권 ◦ 관계기관에 대한 필요사항 통보 요구권 ◦ 관계자에 대한 자료 제출 명령권 ◦ 소속공무원이 행하는 조사를 위한 출입 검사 명령권

 

◦ 경찰관이 방화 또는 실화의 혐의가 있어 피의자를 체포 또는 증거물을 압수했을 경 우 검사에게 사건을 송치하기 전까지 피의자에 대한 질문과 압수된 증거물에 대한 조사권

 

If a police officer arrests a suspect or confiscates evidence on suspicion of arson or misfire, he or she has the right to question the suspect and investigate the confiscated evidence before sending the case to the prosecutor.

 

2. 의 무

 

◦ 출입검사 시 개인주거의 경우 관계자의 승낙을 얻을 의무 ◦ 출입검사 시 관계자 비밀을 타인에게 누설금지 의무 ◦ 출입검사 시 신분을 증명하는 증표를 제시할 의무 ◦ 방화 또는 실화의 혐의가 있다고 인정될 시는 경찰관서에 지체 없이 통보 및 필요한 증거를 수집․보존의무

 

◦ 피의자 체포 중 또는 증거물 압수 중 조사업무 수행 시 경찰관의 수사에 지장을 주 지 않을 의무 ◦ 성실한 자세로 화재원인을 끝까지 추적하여 원인규명에 최선을 다할 의무 ◦ 조사 시 경찰관과 상호협력 의무 ◦ 관계보험회사에의 조사협력 의무 화재조사 업무의 종사자는 직책을 자각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마음가짐이 필요하다.

 

① 화재조사는 물적 증거를 객체로 하여 과학적 방법으로 합리적으로 사실을 규명하지 않으면 안 된다. ② 소방기본법에 부여된 권리와 의무를 초과하여 조사를 실시하면 안 된다.

 

③ 부당하게 개인의 권리를 침해하고 자유를 제한하지 않도록 유념한다. ④ 직무를 이용하여 개인의 민사관계에 관여하여서는 안 된다

 

⑤ 과학적, 기술적으로 타당성에 입각하여 조사하여야 한다. ⑥ 특이한 화재현상에 대하여는 깊은 관심과 관계지식을 최대한 활용하여야 한다.

 

이상과 같은 마음가짐으로 현장조사를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수행과정 중 곤란한 경우가 발생할 것을 대비하여 여러 가지의 공부를 하는 마음가짐이 없으면 아니 되고 권한과 의무 를 적절히 활용하여 결론을 내려야 한다

 

You must actively conduct field research with the above mindset, have the mindset to study various things in preparation for difficult situations that may arise during the process, and draw conclusions by appropriately utilizing your authority and obligations.